2007년 5월 16일 수요일
2007년 4월 4일 수요일
포토샵 도구상자
툴박스 안에는 포토샵에서 주로 사용하는 각종 툴들이 들어있고 화면의 왼쪽에 있으며 만약 화면에 툴박스가 없다면 Window -> Show Tools를 선택하시면 하면에 나타납니다.
그 림 |
아 이 콘 |
설 명 |
|
|
선택 툴: 사각형이나 원형으로 선택하거나 그림을 자를 때 사용합니다. |
|
이동 툴: 선택된 부분이나 레이어를 이동시킬 때 사용합니다. | |
|
올가미 툴: 사각형이나 원형이 아닌 원하는 형태로 선택할 때 사용합니다. | |
|
마술봉 툴: 같은 계열의 색상을 선택할 때 사용합니다. | |
|
에어브러시 툴: 외각선이 부드러운 선으로 칠합니다. | |
|
페인트 브러시 툴: 붓으로 칠한 듯이 그림을 칠합니다. | |
|
도장 툴: 도장을 찍듯이 그림을 복사하여 사용할 때 이용합니다. | |
|
히스토리 브러시 툴:페인트로 칠한 부분을 이전 상태로 되돌릴 때 사용합니다. | |
|
지우개 툴: 그림을 지울 때 사용합니다. | |
|
연필 툴: 연필로 그림을 그리듯이 그릴 수 있는 도구 입니다. | |
|
블러 툴: 그림에 흐리기 효과를 줄 때 사용합니다. | |
|
다지 툴: 그림을 문질러 명도를 밝게 하거나 어둡게 할 때 사용합니다. | |
|
펜 툴: 그림을 섬세하고 자유럽게 선택하여 패스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 |
|
글자 툴: 글자를 삽입할 때 사용합니다. | |
|
자 툴: 캔버스의 두 지점 사이의 거리와 각도 등을 측정합니다. | |
|
그레디언트 툴: 점차적으로 색이 변하게 하는 효과를 줍니다. | |
|
페인트 툴: 캔버스를 클릭한 위치에 있는 비슷한 계열의 색상을 전경색으로 칠합니다. | |
|
스포이드 툴: 캔버스에서 원하는 색을 클릭하면 해당색이 전경색에 나타납니다. | |
|
손 툴: 캔버스를 움직여 원하는 위치에 놓을 수 있습니다. | |
|
돋보기 툴: 캔버스를 확대하거나 축소할 때 사용합니다. | |
|
전경색/배경색: 전경색을 선택할 때 캔버스에서 스포이드 툴로 마우스 왼쪽키를 누르시고 배경색을 선택할 때는 캔버스에서 스포이드 툴로 마우스 오른쪽키를 누르시면 됩니다. | |
|
퀵 마스크 모드: 선택 방법 중의 하나로 툴 박스의 드로잉 도구를 사용하여 선택하는데 사용합니다. | |
|
화면 선택 모드: 포토샵의 화면 모드를 표준 화면 모드, 메뉴 바를 포함한 전체모드, 전체모드로 변경할 수 있게 합니다. | |
|
이미지 레디 실행: 포토샵에서 작업중인 파일을 이미지 레디에서 작업할 수 있게 열어줍니다. |
※ 숨은 툴 선택 방법: 아이콘 옆에 있는 작은 화살표가 있는 것이 숨겨진 툴이 있다는 표시입니다. 그것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마우스로 잠시 그 아이콘을 누르고 있으면 숨겨진 툴이 나타나는데 그때 마우스를 이동시켜 원하는 툴을 선택하시면
2007년 4월 3일 화요일
[웹디자인 기능사필기]디자인 기초
1) 디자인의 기초
1. 디자인의 뜻과 목적
(1) 뜻 - 라틴어의 " 디시그나레(Designare)"에서 유래한 것으로 '계획을 기호로 명시한다' 라는 어원을 가지고 있다.
- 디자인이란 생활을 쾌적하고 아름답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태와 색채 등의 조형을
계획하고 표현하는 것이다.
(2) 목적 - 일상생활을 보다 윤택하고 안락하게 하며, 인간의 풍요로운 정서를 기르는 데 도움이
된다.
2. 디자인의 역사 - 디자인은 원시인의 수제품시대로부터 중세의 수공예시대에 이르기까지는 그 중요성이 덜했으나, 산업혁명이후에는 모든 제품이 기계에 의해 대량 생산됨으로서 디자인의 중요성이 새롭게 부각되었다. 이에 따라서 현대디자인이 탄생되었으며, 특히 1919 년 바우하우스의 디자인 교육에 의해 현대 디자인의 방향과 사상이 정립되었다.
3. 디자인의 종류
(1) 구성형태에 따라
가. 평면디자인 - 문자, 마크, 포스터, 표지, 우표, 포장지, 책표지 디자인 등
나. 입체디자인 - 쇼윈도우, 무대장치, 광고탑, 네온사인, 안내탑 등
(2) 표현 영역에 따라
가. 기초디자인 - 색채의 기본과 색의 기능적 사용, 구성 등의 디자인
나. 시각디자인 - 시각적인 기호나 형태에 의해 내용을 전달하는 디자인으로 시각 전달
디자인이라고도 한다.(그래픽디자인, 영상디자인, 전시디자인)
다. 환경디자인 - 실내외 생활공간을 꾸미는 디자인
라. 공예디자인 - 일용품이나 조형품을 만드는 디자인
마. 공업디자인 - 공업제품을 설계하는 디자인
4. 디자인의 조건
(1) 직접적인 조건
가. 실용성 - 쓸모 있어 실생활에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나. 기능성 - 사용목적이나 용도에 적합해야 한다.
다. 심미성 - 형태와 색채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라. 경제성 - 사용목적, 용도에맞는 저렴한 가격
마. 생산성 - 대량생산 가능
(2) 간접적인 조건
가. 사상 - 사상이나 개인의 생각을 배경으로 한다.
나. 민족성 - 민족성에 따라 디자인의 특징이 있다.
다. 유행 - 유행이 디자인을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라. 기후, 풍토 - 그 나라의 기후, 풍토 등의 외적 요인이 인간에게 영향을 미친다.
▶ 구 성
구성이란 형태, 색채, 재질 등의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맞추어 평면 또는 입체로 표현하는 것이다. 구성은 변화와 통일, 균형을 기본으로 하고, 비례, 대비, 율동 등의 원리를 통하여 아름답고 조화 있게, 평면 또는 입체로 표현하는 것이다. 구성의 원리는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연구되어 왔으며, 특히 근대 심리학과 미학자들에 의해서 어느 정도 체계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1. 구성의 요소
형을 구성하는 소재를 구성 요소라 한다. 구성 요소에는 점, 선, 면, 형, 색, 질, 빛, 운동 등이 있고 모든 조형의 기초가 된다.
2. 구성의 원리(구성미의 요소)
(1) 통일(unity) : 한 작품 안에 화면의 정돈과 안정된 느낌을 주는 것을 말한다.
화면에 중심이 있고 객체가 있어야 통일성이 있게 되며,
통일성이 있어야 질서가 잡히고,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주와 종의 관계)
(2) 변화(variety) :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 요소들의 크기나 형, 색채등이
같지 않은 것을 말하며, 움직임과 흥미를 느끼게 한다.
(3) 조화(harmony) : 둘 이상의 요소가 서로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어울렸을 때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을 말한다. 둘 이상의 요소가 모두 동일할 때 그들은 완전하게
조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오히려 단조(monotone)에 빠졌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훌륭한 조화는 요소 상호간에 공통성이 있는 동시에, 무엇이든
차이가 있을 때 얻어진다.
이 차이성이 심할 때는 대비(contrast)라고 한다
(4) 균형(balance) : 모양과 크기가 다른 두 개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고 평형을 유지하는
관계를 말한다. (대칭,비대칭,방사균형)
(5) 율동(rhythm) : 형이나 색 등이 반복되어 느껴지는 운동감을 말한다. 반복(repetition)과
점이(gradation) 등이 율동에 포함된다.
a.반복 : 같은 형, 색, 크기 등의 동일한 요소나 대상을 둘 이상 배열하는 것을 말한다. 반복은 음악이나 시, 무용 같은 분야에서는 시간적인 간격으로 표현되고, 그림이나, 건축, 조각 등의 시각 예술에서는 공간의 간격으로써 생긴다.
b.점이 : 핵심으로부터 점점 팽창하거나 수축되어 일어나는 율동이다. 흑에서 백으로 넘어가는 부드러운 회색 계열도 점이이고, 달이 차츰 만월에 가까워지는 변화도 하나의 점이로 볼 수 있다.
(6) 비례(proportion) : 부분과 부분 또는 부분과 전체의 수량적 관계를 말한다. 고대에는 수학
적인 비례를 신비적인 상징으로 숭상하여, 건물의 시각적인 비례를 중요
시했다. 인체도 7등신, 8등신 등의 비례로 볼 수 있는데, 비례의 가장
전형적인 것은 황금비(황금분할)이다.
(7) 강조(emphasis) : 특정 부분을 다르게 함으로써 변화 있게 하는 원리이다.
어느 한 부분의 형태, 색, 크기 등을 전연 다른 것으로 배치,배색함으로써
생성되며, 강한 긴장감을 준다.
a. 억양(accent) : 억양은 적은 범위의 부분을 강조하는 것으로, 점이나 선, 때로는 색 따위로
어느 한 부분을 강조하여 시선을 끈다.
(8) 착시 : 시각의 착각에 의해 길이나 형태, 색채 등이 실제와 달라 보이도록 만든다.
현대 순수 미술에 있어서 옵 아트가 이러한 착시 현상을 잘 이용하는 화파이다.
3. 평면구성
평면 위에 점, 선, 면, 색채 등을 효과적으로 선택하고 배치하여 창조적 형태를 구성하는 것으로, 수공예나 복식 디자인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1) 점 구성 : 하나의 점은 위치만을 나타내지만 점의 크기와 간격, 거리, 방향 등에 의해
여러 가지 성격을 가진다.
a.규칙적 배치 : 크기가 같은 점들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 규칙적인 배열 구성
(질서, 조직성, 통일성)
b.불규칙적 배치 : 변화를 갖는 점들이 화면에 명암차와 무게차를 주면서 구성(율동감)
(2) 선 구성 : 선의 집합이나 방향과 움직임에 의한 구성을 말하며, 평행선이나 점의 연결에
의한 선으로 구성하는 방법과 기타 기하 곡선이나 자유 곡선에 의한 구성방법이
있다.
a.직선 구성 : 직선의 간격과 길이에 변화를 주면서 수평선, 수직선, 사선 등의 일정한 방향의
선을 구성하면 다양성 있고 질서 있는 구성의 효과를 얻는다.
b.곡선 구성 : 곡선은 직선과 달리 부드러움과 자유로움, 율동감을 표현 할 수 있는
구성의 효과를 얻는다.
(3) 면 구성 : 면과 면의 관계, 놓여진 위치나 각도, 방향의 차이에 따라 여러 가지 변화가
생긴다.
분할된 각 면의 길이나 넓이에 대한 비례를 생각하여 선으로 변화 있게 한다.
평면적인 구성이 되기 쉬우므로 형이나 색이 지닌 특성을 이해하여 공간에 대한
암시가 있어야 한다
(4) 재질 구성 : 색종이, 헝겊, 실, 금속판 등 여러 가지 재료의 특성을 살려서 화면을
구성하면 새롭고 재미있는 표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재질에 의한 구성을
같은 성질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고 형, 색, 질감 등의 짜임이 조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5) 색채 구성 : 색채 이론을 면의 분할, 색의 강약 등의 자유로운 조절을 통하여 표현하는
구성으로 색채 표현이 창의성과 기능성을 나타나게 할 수 있다.
4. 입체구성
선재, 면재, 3차원 양재를 이용하여 재료의 특질을 살려 공간을 구조적으로 아름답게 꾸미는 것
(1) 입체 구성의 특성
a. 시각적인 아름다움 : 양, 공간, 방향, 율동, 균형 등 입체 구성미의 요소를 만족시키면서
자유로이 추상적인 형을 구성하는 점
b. 구조적 안정감 : 알맞은 재료를 사용하며, 아름답게 조화를 이루고 구조가 튼튼하다는 점
(2) 입체 구성미의 요건 ; 구조와 공간의 효과 (재료, 구조, 조형미)
a. 재료의 형, 색, 재질감 등이 잘 조화되어 통일을 유지한다.
b. 양감과 공간의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c. 균형을 유지하며 정돈된 조용함이 있어야 한다.
d. 율동감에 의한 움직임을 표현한다.
(3) 선재 구성
a. 선재 구성의 재료는 실, 노끈, 철사, 젓가락, 성냥개비 등이 있다.
b. 재료가 지닌 특성을 이용해서 구성한다. 실은 얽어 매야 하고, 철사 같은 것은 땜질을
하며, 목선재는 접착제를 잘 선택해야 한다.
c. 재료의 특징을 살리는 일은 구조미와 기능미를 표현하는데 우선되어야 할 조건이 된다.
※ 선재구조 : 철골 구조의 현대 건축, 송?수신탑, 철교, 선재에 의한 현대 조각, 기념탑 등
현대에는 이 선재로 된 것이 헤아릴 수 없이 많다
(4) 면재의 구성
a. 면재 구성의 재료는 종이, 유리, 판지, 철판, 헝겊, 플라스틱판 등이 있다.
b. 면재에서는 광선에 따라 변화하는 명암을 생각해야 하며 특히 재료가 지닌 성질(재질)에
대해서 이해가 깊어야 하고, 상하, 좌우의 균형, 직선과 곡선, 평면과 곡면 등 대비 조화를
생각해야 한다.
(5) 양재의 구성
a. 양재 구성의 재료에는 나무, 흙, 돌, 시멘트, 벽돌, 블록, 플라스틱 등이 있다.
b. 양재 구성은 깍아가면서 만드는 방법과 쌓고 붙이는 방법 등이 있다.
c. 덩어리와 덩어리의 연결, 균형 등의 조화는 양재 구성의 아름다움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5. 무늬디자인
무늬는 평면이나 입체 디자인의 여러 영역에서 부분적(장식적)으로 또는 전면적(포장지, 벽지)으로 이용하고 있다.
(1) 단독무늬 : 무늬의 단위가 하나로 독립된 경우
(2) 연속무늬
*2방 연속 무늬 : 무늬의 단위를 좌우 또는 상하의 두 방향만으로 연속하여 반복 배치한 띠
모양의 무늬
*4방 연속 무늬 : 무늬의 단위를 상하 좌우의 네 방향으로 연속하여 전면에 반복 배치한상태의
무늬(천정지, 벽지, 포장지에 많이 사용)
6. 디자인의 자료 -관찰과 표현
자연물을 면밀히 관찰하면 어디서든지 미적 요소를 찾을 수 있다. 색이 아름다울 때, 형체가 아름다울 때, 선이 아름다울 때 우리는 그것을 모티브(motive)로 선정하여 표현할 수 있다.
(1) 자연물의 관찰 방법
a. 확 대 : 자연물의 어느 한 부분을 확대해서 관찰하는 방법
b. 집 합 : 모여 있는 모양을 보고 구성하는 방법
c. 먼거리: 글거리에서 볼 수 없는 새로은 아름다움을 멀리서 본 형태로 구성하는 방법
헬기에서 숲을 관찰
d. 절 단 : 절단면을 보고 관찰하여 구성하는 방법
e. 분 해 : 꽃이나 열매 또는 기계부품 등의 복합한 대상을 분해해서 관찰(내부의 조직)하여
구성하는 방법
f. 전 개 : 꽃잎과 같은 것을 한장한장 펼쳐보고 구성하는 방법
g. 투 시 : 반투명적인 물체를 불빛에 비쳐 보거나, 륀트겐 사진에 의해 관찰하여
구성하는 방법
(2) 단순화 : 대상이 지니고 있는 가장 본질적인 요소를 파악하여 대상물을 단순화하거나 강조,
변형시킨 후 색채와 질감을 살려 참신하게 조형하는 것으로 모든 디자인의 기초
학습이 된다. ( 양식화, 편화, 약화)
a.형태의 단순화
- 기하 추상형화 : 규칙적인 직선형이나 곡선형으로 구성하는 방법
- 자유 추상형화 : 불규칙적인 직선형이나 곡선형으로 구성
b. 명암의 단순화 : 명암을 두세 단계로 정리하는 방법
c. 색채의 단순화 : 색 수를 줄이거나 한 가지 색으로 요약해서 표현하는 방법
d. 단순화(양식화)의 과정 : 먼저 대상을 관찰한 다음 그 특징과 구조, 윤곽선을 찾아내고
단순한 형체로 집약시킬 수 있도록 비례에 따라 조정한다. 그리고 다시 대상의 형태, 동세,
특징 등을 관찰하여 그 형태를 새로운 질서로 창조하는 것이다. 양식화는 정돈이 잘 이루어 진 분명한 형체로서 비례와 조화를 갖추고 구조상의 질서를 유지하도록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포토샵에서 완벽 한자폰트 사용법
# 포토샵에서 완벽 한자폰트 사용법 -
아래의 순서를 그대로 따라하시면 한자폰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첫번째로 해야할 일은 [한자입력기]를 설치하는 것입니다.
설치방법은 세이차이나와 네이버 중국어사전을 참조하시길 바랍니다.
운영체제별로 나와있으니 자신의 환경에 맞는 것으로 선택하셔서 잘보고 설치하시길 바랍니다.
설치하는 것이 어려워도 이곳에 묻지 마시고, 컴퓨터와 투닥거리다가 자신이 직접 해결하시길 바랍니다.
이것을 해결하지 못하면, 한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옆사람에게 물어봐서라도 설치하세요.
한자입력기를 설치하면 우측하단에 지구본처럼 생긴 아이콘 혹은 KO라고 적힌 아이콘이 생겼을 것입니다. 그럼 성공입니다.
자, 그럼 당분간은 이것에서 신경끄도록 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2.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한자폰트 사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우선 아래의 연습용 폰트를 다운받아서 자신의 컴퓨터에 설치를 합니다.
(설치방법 : ① 다운을 받는다.
② 압축파일을 알집등으로 풉니다. 풀면 .TTF파일이 새로 생성이 됩니다.
③ 이 파일을 c:/window/fonts 폴더에 붙여넣습니다. - 이거 모르는 사람 없죠?? ^^)
3. 이제는 메모장을 열고 "대한민국"이라고 타이핑한 다음 한자로 바꿔줍니다. 大韓民國 ☜ 이렇게요.
각 글자의 앞에 커서를 두고 키보드의 '한자'버튼을 누르면 한자를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뜹니다.
그 중에서 원하는 글자를 선택하면 됩니다.
4. 이번에는 포토샵을 실행시킵니다.
새로운 창을 하나 열고 타입툴을 선택한 후 2번에서 설치한 한자폰트를 선택합니다.(맨 아래에 있을겁니다.)
위에서 설치한 폰트 이름은 "FZCaiYun-M09T" 입니다...선택하세요.
(폰트 이름을 보는 방법은 .TTF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선택했으면 새창의 빈곳을 클릭한 후 메모장에 써놓은 글자를 복사해서 붙여넣기 합니다.
그런데, 뭔가 조금 이상하죠? '대', '민'자는 제대로 나오는데 나머지 두 글자들은 안보이는군요.
바로 이 점이 문제가 되기 때문에 1번에서 한자입력기를 설치한 것입니다. 이유는 곧 알게됩니다.
5. 자, 이번에는 서핑을 할 차례입니다.
세이차이나와 네이버 중국어사전중 하나를 클릭합니다.
새로운 창이 하나 떳죠? 그럼 위에서 메모장에다가 썼던 '韓'자를 복사하여 검색창에 붙여넣기 하고 검색합니다.
검색을 하면 간자체와 발음기호, 그리고 번자체까지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6. 다시 포토샵으로 돌아옵니다.
드디어 1번에서 설치한 한자입력기를 사용할 시기가 왔습니다.
아이콘(지구본 혹은 KO라고 적힌)을 클릭하여 중국어(PRC)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위에서 입력한 '大'옆에 커서를 두고, 검색창에서 봤던 발음기호인 'han'을 입력합니다.
그러면 길쭉하고 이상한 창이 하나 생기는데, 타이핑을 마치면 '스페이스바'를 누릅니다.
자, 5번에서 봤던 간자체와 똑같이 생긴놈이 나타났죠? '엔터키'를 한대 때려주면 포토샵에 글자가 나타납니다.
7. 이번에는 5번의 검색창에다가 '國'자를 붙여넣기 하고 검색합니다. 이번에도 검색이 되었죠?
포토샵으로 돌아와 '民'옆에 커서를 두고 발음기호인 'guo'를 타이핑합니다.
마치면 '스페이스바'를 누릅니다. 그런데, 아까와는 달리 간자체가 틀립니다.
이럴경우 키보드의 '좌우방향키'를 눌러서 나타나는 한자들 중에서 원하는 놈을 선택하고 '엔터키'를 때려줍니다.
8. 이제 모든 입력작업이 끝났네요.
꾸미는 작업은 여러분의 재량껏 하시길 바랍니다.
긴 강좌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http://styleart.net
2007년 2월 3일 토요일
DVI 포트 (DVI_i와 DVI-d)차이
DVI 왜 필요한가?
현재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PC와 모니터 상의 신호 전달 체계는
디지털 비디오(디지털)--> VGA(아날로그 RGB 신호로 변환) --> RGB 케이블(아날로그)--> CRT 모니터 로 신호가 전달된다.
그러나 LCD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기기가 일반화되면서 위와 같은 신호 전달방식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왜냐하면 디지털 디스플레이 기기의 경우 자체적으로 다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경하여 출력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최초의 디지털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 변조후 다시 디지털 신호로 변조되는 불필요한 과정을 겪기 때문이다.
즉, 출력 업계에서는 이와 같은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해 디지털 비디오 입출력 체계를 고안해 내었으며 TMDS (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방식의 DVI가 업계의 표준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언제 필요한가?
DVI와 RGB의 차이는 미시적인 관점에서 극명하다. 샤프니스 손실로 인한 뭉개짐, 잔상 현상, 잡티 등 아날로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에서 DVI는 자유롭다.
테스트 이미지(www.displaymate.com)를 이용해서 평가해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화면의 크기가 작다면 일반 사람들의 눈에 비친 일반적인 이미지는 구별하기 쉽지 않겠지만, 대화면이고 케이블 길이가 길어진다면 화질 개선 효과가 분명하다.
DVI-I와 DVI-D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DVI는 RGB를 포함한 모든 디스플레이 커넥션을 통합할 목적으로 탄생했기 때문에 초기에는 아날로그 신호도 전송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그 결과 탄생한 것이 DVI-I 이며 아날로그를 제외한 디지털 신호만을 전송하는 방식은 DVI-D 커넥션이다.
일반적으로는 RGB를 지원하기 때문에 DVI 사용 목적에 충실한다면 DVI-D가 적당하다.
DVI 단자 설명
DVI-D 싱글
18핀 DVI-D 싱글 케이블은 단지 디지털만 전송이 된다.
대부분의 디스플레이 기기들이나 프로젝터, 셋톱박스에 있는 단자 타입임.
24핀 DVI-D 듀얼 케이블 경우는 DVI-D 싱글에 비해서 전송량이 많은 경우 사용되지만 일반 기기 연결시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DVI-D 싱글 케이블 연결만으로도 충분하기때문임. 일반AV영상기기들을 듀얼로 연결시 오히려 화면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일반 가전제품이 아닌 실험용 기기나 특수한 기기에서 사용됨.
DVI-I 싱글 케이블
이케이블은 좌측 이미지에서 보면 알수 있듯이 가운데 핀이 많이 비어있는것이 것이 보인다.
디지털+아날로그 출력단자에서 아날로그 신호만 뽑아 보내는 것인데 보통 컴퓨터 VGA 카드에서 많이 사용함.
(DVI -> 아날로그(D-sub 15핀)로 변환할 수 있는 단자임)
DVI-I 듀얼 케이블
24핀의 DVI-I 케이블 경우 좌측 이미지 긴 핀 위 아래로 4핀이 더 추가 되어 있음.
DVI-I 출력단자의 경우 디지털+아날로그 출력이 가능함.
그래서 DVI-VGA (15핀 D-sub) 케이블로도 연결이 가능하지만 아날로그 연결일 뿐이며, 이 출력단자는 컴퓨터 VGA 카드나 기타 특수한 용도에 사용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