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www.newsva.co.kr/uhtml/read.jsp?idxno=286719§ion=S1N5§ion2=S2N232 MS 익스플로러 점유율 75%대로 추락 | |||
| |||
이정일 jaylee@ | |||
| |||
25일 시장조사기관인 넷애플리케이션에 따르면, 파이어폭스는 2008년 1월 전세계 시장 점유율이 16.98%로 17%에 육박한 반면 MS 익스플로러는 75.47%로 떨어졌다. 75%는 MS 익스플로러가 90년대 후반 넷스케이프를 누르고 웹 브라우저 시장을 석권한 이래 가장 낮은 점유율이다. 익스플로러는 2005년 12월 87.7%에서 2006년 83.01%, 2007년 78.58%로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반면 파이어폭스는 2005년 12월 7.88%에서 2006년 11.59%, 2007년 14.95%로 꾸준히 상승세를 타고 있다. 모질라재단이 2004년 공개한 파이어폭스는 출시 99일 만에 세계적으로 2500만회의 다운로드를 달성하더니 6개월이 지날 즈음 5000만회를 돌파했다. 이어 출시 1주년 무렵 1억회를, 다시 1년 뒤에는 2억회를 기록했으며 지난 2월에는 마침내 '5억회 다운로드'의 금자탑을 쌓았다. 파이어폭스의 인기는 유럽시장에서 더욱 도드라진다. 프랑스 웹 분석 회사인 엑시티 모니터(XiTi Monitor)의 2007년 12월 자료에 따르면, 파이어폭스는 유럽 평균 28%의 점유율을 기록해 1년 전 23.1%보다 5%가 상승했다. 특히 핀란드(45.4%), 슬로베니아(44.6%), 폴란드(42.4%) 등 일부 국가에서는 40% 이상의 점유율로 MS 익스플로러의 목을 바짝 죄고 있다. 파이어폭스는 소스코드를 공개해 누구나 자유롭게 관련 기술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소스 진영의 대표 주자다. 파이어폭스가 익스플로러를 빠르게 추격할 수 있는 것도 코드공개를 통해 다양한 협력을 이끌어냄으로써 강력한 기능들을 다양하게 탑재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전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파이어폭스는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한 자리대 점유율로 세계 평균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웹 사이트 대부분이 MS 익스플로러에 최적화돼 있어서 파이어폭스가 자리를 잡지 못하고 있다”며 “익스플로러의 국내 시장 독점은 사실 웹 개발자들의 책임이 크다”고 지적했다. 작년 초 MS 윈도 비스타가 출시됐을 때 유독 한국에서만 액티브X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됐던 것도 웹 개발자들이 지나치게 액티브X에 의존해서 사이트를 개발하기 때문이라는 문제 제기인 것이다. 최근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웹 개발자들이 브라우저 선택권을 박탈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는 것도 웹 개발자들의 친 MS 성향을 질타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웹 개발자들은 '웹 표준'을 따르기 힘들도록 하는 외부 조건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고 해명하고 있다. 다음 포털의 한 관계자는 “조그만 규모의 회사에서는 모든 브라우저에 맞춰 웹 페이지를 개발하기 어렵다”면서 “개발자들이 아무리 웹 표준을 따르려고 해도 회사 중역들이 비용과 시간 등을 고려해 MS 익스플로러에만 맞춰 제작하도록 주문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정일 기자 jaylee@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
|
|||
입력 : 2008-02-25 13:49:21 / 수정 : 2008-02-25 13:49:54 / 승인 : 2008-02-25 13:49:54 |
2008년 2월 26일 화요일
MS 익스플로러 점유율 75%대로 추락
2008년 2월 21일 목요일
AMD에 대하여 #4
http://www.seoprise.com/board/view.php?uid=45&table=it_info
[AMD 이야기] 3편 - AMD는 AMD만의 특별함이 있다. | |
AMD는 인텔의 하청업체를 시작으로 지금의 AMD가 있기까지 수많은 프로세서를 개발해왔습니다. 그러던 와중 AMD는 인텔에는 없는 자신만의 특별한 기술을 개발해왔습니다. 시작은 인텔의 기술을 답습하는 수준에 머물렀지만 지금에 와서는 선도하는 기술을 보이는 수준까지 왔습니다. 초기 AMD 프로세서는 인텔의 제품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저가형 제품이라는 이미지를 지켜야 했습니다. 그 주된 이유는 FPU의 성능이 인텔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AMD는 1998년 5월에 출시한 ‘K6-ll’에 추가한 3DNow! 기술을 토대로 한 발짝 올라서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3DNow!는 3차원 그래픽 부분에서의 병목현상을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SIMD(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방식으로 한번에 4개의 실수 연산을 수행할 수 있는 21개의 새로운 명령어입니다. 인텔의 MMX에 대항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지요. 하지만 AMD의 3DNow!는 인텔의 MMX에 없는 특별함이 있었습니다. MMX는 정수 연산만 가능하여 이미지나 사운드, MPEG 디코딩에는 효과가 있지만 3D 그래픽이나 VRML등에서는 성능을 발휘하지 못합니다. 반면 3DNow!는 부동소수점 연산을 통해 고속의 3D 그래픽이 가능합니다. 또 MMX-to-부동 소수점이라는 기능으로 MMX와 데이터 전환이 자유롭습니다. 덕분에 특정 MMX 소프트웨어를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다이렉트X를 가속하는 것이므로 애플리케이션 운용시 더욱 빠른 속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3DNow!는 MMX를 제창한 기술이지만 보다 뛰어난 능력을 가진 기술이라는 것입니다.
AMD는 또 인텔보다 한발 앞선 2003년에 최초의 데스크탑용 64비트 프로세서 애슬론64를 발표합니다. 이때 발표한 애슬론64에는 하이퍼트랜스포트(Hypertransport)라는 새로운 기술을 선보였습니다. 하이퍼트랜스포트는 I/O 병목기술을 제거하고 대역폭을 증가시켜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술입니다. 하이퍼트랜스포트에 대해 좀 더 알아보자면 메모리 컨트롤러가 MCH에 마련되어 있는 인텔 프로세서의 경우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읽어 들일 경우 반드시 MCH를 거쳐서 가게 됩니다. 반면 AMD는 메모리 컨트롤러가 프로세서 내에 마련되어 있어 다른 곳을 거치지 않고 프로세서와 바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합니다.
쉽게 말해 사원과 부장과의 대화를 통해 사장님에게 내용이 전달되는 것이 아니고, 사원과 사장이 1:1로 직접 대화를 하는 식입니다. 그렇게 되면 어떤 식으로든 빠른 내용 전달은 물론 그에 대한 조치도 빨라지는 것은 당연하겠죠. 실제로 여러 벤치프로그램을 구동시켜보면 메모리 퍼포먼스 부분은 AMD가 항상 앞서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텔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AMD의 하이퍼트랜스포트 기술이 매우 위협적일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인텔의 차세대 프로세서인 네할렘이 DDR3 메모리를 직접 컨트롤할 수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해 등장한다는 것입니다. 인텔의 기술을 AMD가 답습하듯이 AMD의 기술을 인텔이 답습해 가고 있군요. |
AMD에 대하여 #3
http://www.seoprise.com/board/view.php?uid=44&table=it_info
Athlon64(K8)
AMD의 8세대 프로세서로 2003년 첫 모습을 드러냈다. 클로우해머라는 코드명으로 스타트를 끊으며 754 소켓으로 규격이 바뀌었다. 최초의 데스크탑용 32비트 호환 64비트 프로세서로 이름을 남기며 이후 64비트 프로세서에서 인텔이 AMD 명령어 호환을 따르게 만드는 역사적인 사건을 만들기도 했다.
800MHz의 버스 클럭을 가지며 하이퍼트랜스포트라는 기존의 FSB와 다른 새로운 고성능 시스템 연결기술을 만들게 된다. I/O 병목기술을 제거하고 대역폭을 증가시켜 전반적인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키고 메모리 컨트롤러를 프로세서에 내장하여 더욱 빠른 속도로 시스템이 동작하도록 했다.
데스크탑의 64비트 시대를 연 애슬론64 |
|
이후 뉴캐슬 코어가 나오면서 메모리가 싱글 채널로 움직였던 754 소켓에서 듀얼 채널로 돌아가는 939 소켓으로 이전하게 된다. 시스템 버스 클럭도 800MHz에서 1GHz로 향상 되어 더욱 빠른 속도를 내게 되었다.
754 소켓에서 939 소켓으로 플랫폼이 바뀌면서 듀얼채널 메모리를 지원 |
|
90나노 공정으로 발열이 더욱 줄어든 윈체스터가 나오고 이후 캐쉬를 두배로 늘려 1MB로 올린 샌디에고 코어가 나왔으며 하위 모델로 윈체스터의 메모리 버그를 수정한 베니스 코어를 끝으로 애슬론64 939핀의 시대를 내렸다.
939 소켓으로 바뀔 때부터 애슬론64는 최상의 인기를 누렸다. 939 소켓 이후 AM2소켓 이라는 DDR2 메모리를 지원하는 플랫폼으로 바뀐 뒤 올리언즈 코어로 싱글 코어의 마지막을 알렸다.
Sempron
애슬론64로 AMD의 주력이 바뀌면서 기존의 듀론을 대체하는 보급형 프로세서로 샘프론 프로세서가 태어났다. 초기엔 754소켓을 따라 애슬론64와 같은 메인보드를 사용했다. 이후 듀얼 채널 메모리를 사용하는 939 소켓으로 애슬론64가 옮겨 갔지만 샘프론은 보급형이란 이름으로 계속 754 소켓에 머물러 있다가 바로 AM2 소켓으로 건너뛰게 된다.
Athlon64 X2
2005년, 64비트에 이어 하나의 다이에 두 개의 코어를 넣은 듀얼 코어 프로세서도 AMD가 먼저 출시했다. 그것도 아예 처음부터 네이티브 듀얼코어로 시장에 내놓았다. 90나노 공정으로 제작된 맨체스터 코어로 두 개의 512KB의 L2 캐시를 가진 저클럭 제품이 출 시 되었으며 캐시를 두 배로 늘린 톨레도 코어로는 고클럭 제품이 나왔었다.
하나의 CPU안에 두개의 코어를 넣은 애슬론64 X2 |
|
이후 939에서 AM2 플랫폼으로 넘어가면서 윈저 코어로 출시하게 된다. 윈저 코어는 같은 코어를 가졌지만 제품에 따라 512KB와 1M로 캐시의 크기가 틀린 제품이 함께 존재했다. 이후 90나노에서 65나노로 공정을 바꾼 브리즈번 코어로 바뀌고 캐쉬는 512KB 두 개로 고정이 되었다. 소비 전력이 45W~65W정도로 크게 줄어들어 펜레스 쿨러를 사용해도 될 만큼 발열이 적어졌다.
다크사이드 애슬론64 X2 5000+. 최신의 브리즈번 코어를 사용했다. |
|
Athlon X2 BE
2007년에 등장한 AMD의 저전력 듀얼코어 제품군으로 더 이상 64비트 제품임을 표기하지 않는다. 경쟁사도 64비트를 지원한지 오래 되었기 때문에 의미가 없어져 이름에서 삭제를 했다. 45W의 소비전력으로 낮은 전력소모와 저발열로 운용이 가능하다.
네이티브 쿼드코어를 가져다 준 AMD 페놈X4
Phenom(K10)
애슬론의 뒤를 잇는 AMD의 CPU 브랜드 네임으로 페놈을 쓴다. 최상위 제품인 페놈FX와 네이티브 쿼드코어인 페놈X4, 보급형이 될 듀얼코어는 페놈X2로 명명 되었다. 그러나 시장에서 구입하려 해도 찾을 순 없다. 출시예정인 제품들로 소비자들에게 선보일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네이티브 쿼드코어를 가진 페놈X4의 단면도. 2M의 통합 L3 캐시가 눈에 띈다. 여전히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하여 속도를 끌어올린다. |
AMD에 대하여 #2
http://www.seoprise.com/board/view.php?uid=42&table=it_info
AMD 프로세서의의 르네상스 시대를 열었던 애슬론 시리즈 | |
Classic Athlon (K7) 알파 프로세서의 EV6 프로토콜을 가져와 우수한 성능을 가지게 되었고 인텔 프로세서와 더 이상 같은 소켓을 사용하지 않고 독자적인 슬롯A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0.25 마이크론 공정에 2,200만개의 트랜지스터가 집적되었다. DDR 기술이 사용되어 200MHz의 FSB를 지원한다. 인텔 메인보드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어 AMD 자체 칩셋이나 VIA, ALi 등의 서드파티에서 제작한 칩셋을 사용한 메인보드를 사용했는데 인텔 보드 만큼 제 성능을 내지 못해 아쉬움을 남겼다.
Athlon TM
750MHz의 클럭으로 시작하여 2000년 2월 6일 인텔보다 먼저 최초로 1GHz를 돌파한 프로세서로 기록되었으며 1.4GHz 제품까지 출시되었다. 기존의 3DNow!를 발전시킨 Enhanced 3DNow! 명령어도 추가되었다. 인텔 프로세서에 비해 동일 클럭에서도 빠른 성능을 내준 것은 물론 DDR 메모리를 도입하였고 비아 등의 칩셋 회사에서 전폭적으로 지원 해주었다. FSB는 200MHz에서 266MHz까지 올라갔다. 그리고 이때부터 오버 클럭이 실질적으로 널리 퍼지기 시작했다고 보면 된다. 배수락이 풀린 제품이 많았으며 레이저 커팅이 되어도 샤프심 같은 흑연이나 컨덕티브 펜 등으로 개조를 하여 오버 클럭을 시도하는 유저들이 온라인상에 대폭 늘어났다.
Duron (듀론) L2캐시는 64KB였지만 L1캐시는 128KB로 셀러론 보다 우위에 있었다. 200MHz의 FSB를 가졌으며 600MHz에서 1GHz까지의 제품이 스핏파이어 코어로 출시 되었다. 이후 850MHz부터 시작하는 모건 코어로 넘어가게 된다. 모건 코어는 애슬론 XP의 시작 모델인 팔로미노 코어를 기반으로 새로이 만들어진 듀론 프로세서이다. 그리고 애슬론 XP와 같은 코드명인 써러브레드 코어로 마지막 듀론 프로세서가 나오게 되며 써러브레드 코어에 맞게 FSB가 266MHz로 올라가고 1.5V의 낮은 전압으로 동작한다.
Athlon XP
팔로미노 코어를 기반으로 0.13마이크론 공정으로 발열을 더욱 낮춘 써러브레드 코어가 2002년 3월에 판매를 시작하였고 FSB를 333MHz로 올리고 캐시를 512K로 늘린 바톤 코어는 오버클럭 열풍을 일으킨 장본인 이기도 하다. 애슬론XP 2500+는 바톤 2500으로 더 많이 불린 제품이기도 하다.
인텔의 윌라맷 코어 기반의 펜티엄4를 안드로메다로 관광 보내버린 애슬론XP 였으나 노스우드C 기반의 펜티엄4가 하이퍼스레딩을 무기로 나오자 추춤하기 시작했으며 클럭에 밀려 끝내는 듀론이 위치했던 보급형으로 내려가 마지막을 보냈다. |
AMD에 대하여 #1
http://www.seoprise.com/board/view.php?uid=41&table=it_info
K5 부터 페놈까지 이어진 AMD 프로세서의 역사
오늘날 PC 시장에는 두 종류의 프로세서가 주로 사용된다. 다수를 차지하는 인텔과 몇 년 사이에 점유율을 대폭 늘린 AMD가 그 주인공이다. 1968년 설립된 인텔에 비해 1년 늦은 1969년에 설립된 AMD는 거대 기업인 IBM이 개인용 컴퓨터로 채택해 비중이 늘어난 8086, 8088 프로세서를 라이선스 생산을 하다가 마침내 독자적인 설계로 제품을 만들기 시작하게 된다.
지금의 20대 후반부터 30대가 어릴 때 썼던 8088 프로세서를 사용한 XT 컴퓨터를 IBM 호환 기종이라 불렀던 이유는 IBM이 이 프로세서를 사용해 개인용 PC를 만들어 유명해졌기 때문이며 그때는 인텔 이외에 AMD에서 만든 8088 프로세서가 채용된 컴퓨터도 많았다. 그 시절부터 우리는 AMD가 만든 프로세서를 사용해 왔던 것이다.
K5
AMD 가 1996년 최초로 자체 개발한 개인용 데스크탑 프로세서로 인텔의 펜티엄 프로세서와 같은 소켓5를 지원하여 동일한 메인보드를 사용할 수 있었다. 클럭은 75~166MHz까지 만들어 졌으며 버스 클럭은 50~66MHz 였다. 8KB의 데이터 캐시와 16KB의 명령 캐시로 24KB의 L1 캐시를 갖고 있다. 이 시절부터 정수 연산은 AMD 프로세서가 빨랐지만 부동소수점 연산에서는 인텔이 강세를 가지고 있었다.
AMD 최초의 자체 설계 프로세서인 K5. Windows95에 호환이 되는 프로세서임을 밝히고 있으며 이때 이미 PR 레이팅 표기를 시작했다. |
|
PR 표기법이란?
자사와 경쟁할 수 있는 제품 또는 성능을 견줄 수 있는 표준 규격에 따라 제품의 성능 등급을 새롭게 매긴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A사의 100이라는 제품과 B사의 90이라는 성능 제품이 있다고 가정할 때 B사의 자체 테스트 결과 자사의 90이라는 제품이 A사의 100 제품과 거의 동일 한 수준의 성능이라 는 판단이 선다면 100+라는 새로운 이름을 통해 A사의 100 제 품과 성능면에서 동일하다는 것을 표방하는 방식이다.
ex) AMD 애슬론64 4000+의 경우 실제 동작 클럭은 2.4GHz를 가지고 있으나 인텔 의 4GHz 프로세서와 동등한 성능을 나타낸다.
|
K6
K5가 발표된 이듬해인 1997년 4월에 발표 되었으며 880만개의 트랜지스터로 구성되었고 0.35마이크론 공정으로 제작 되었다. 여전히 인텔의 펜티엄 프로세서와 같은 소켓7을 사용하여 메인보드의 공유가 가능했다.
본격적으로 저가 시장을 파고 들었던 K6 CPU |
|
K6-II
1998 년 5월에 출시된 K6의 후속 제품으로 950만개의 트랜지스터를 0.25 마이크론 공정으로 제작되었다. 이때부터 인텔의 MMX 기술에 대응하는 3DNow! 라는 3차원 명령어가 포함되기 시작했다. 3D 그래픽카드의 병목현상 해결을 위해 부동소수점 연산을 가속하는 21개의 전용 명령어가 들어간 것이다. 그리고 시스템버스도 100MHz로 올라갔다.
저렴한 가격에 만만찮은 성능으로 인텔 펜티엄의 시장을 넘보기 시작하자 인텔에서는 이에 대행하기 위해 저가 프로세서인 셀러론을 출시하게 되었다. 셀러론은 K6보다 성능이 떨어졌지만 가격은 저렴했기 때문에 인텔 브랜드의 저가형으로 시장에 파고들었다.
AMD의 늘어난 시장 점유율로 인해 비아에서는 AMD 전용 메인보드 칩셋을 만들기도 했다. (여담으로 K6 CPU의 엄청난 발열로 이때 CPU쿨러의 발전이 시작되었다. 이무렵 펠티어 소자를 이용한 아이스 쿨러가 유행하기도 했었다.)
3DNow!가 포함되어 MMX에 대항하기 시작한 K6-II |
|
K6-III
다 시 1년 뒤인 1999년, AMD 최초의 L2 캐시가 내장된 제품으로 모습을 드러냈다. Sharktooth라는 코드명을 가졌으며 K6-II와 동일한 코어에 64KB의 L1캐시와 256KB의 L2캐시가 사용되었다. 여기에 메인보드에서 최대 2MB의 L3 캐시를 내장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하여 높은 성능을 끌어냈다. 400MHz와 450MHz 두 제품을 출시 하였다.
L2 캐시를 내장한 K6-III의 다이 사진과 다이어그램 |